lang  KR
mobile
header
  • HOME

  • ABOUT US

    arrow
  • 혜택

    arrow
  • 뉴스룸

  • 고객센터

    arrow
 KR
유트랜스퍼 뉴스룸
핀테크 산업의 주요 뉴스와 인사이트를 전합니다.
인도네시아 국가표준(SNI) 의무인증
2025-07-07


안녕하세요,

유트랜스퍼Biz입니다!

최근 인도네시아 정부는 SNI 인증 제도의 전반적인 개편을 통해

의무 인증 품목을 대폭 확대하고 해외 제조사의 현지 대응 요건을 강화했습니다.

이제 단순히 인증서만으로는 수출이 어려워졌고

‘현지 법인 설립 또는 지정’, ‘창고 확보’, ‘QR코드 포함 전자마킹’

복합적인 요구사항을 충족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인증 대상 확대 품목, 현지 법인 필수 요건, 유형별 인증 체계 개편,

그리고 기업이 대응 전략을 수립할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사항을 집중적으로 다루겠습니다.


1. SNI 인증 품목군 대폭 확대​


인도네시아 산업부는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

다수의 신규 품목에 대해 SNI 인증을 의무화하는 고시를 발표했습니다.

전기·전자 제품군뿐 아니라 식품, 자동차 부품, 포장재 등

일상 소비재와 공산품까지 폭넓게 포함되었으며,

일부 품목은 2026년까지 단계적으로 적용됩니다.

[ 예 : 가정용 세탁기, 펌프, 냉장고, 에어컨, 코코아 파우더, 식염, 타이어, 비료 등 ]

그동안 자율 인증으로 수출이 가능했던 품목들이 강제화되며

사전에 인증을 취득하지 않으면 통관 자체가 불가하거나

사후에 전량 리콜 및 벌금 부과의 대상이 됩니다.

특히 가전, 식품, 원자재 수출 기업들은

인증 취득의 속도와 현지 대응 능력이 시장 선점의 관건이 됩니다.


2. 현지 대표법인 의무화​


2025년부터는 해외 제조사가 SNI 인증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인도네시아 현지에 등록된 법인을 대표자로 지정해야 합니다.

단순 수입대행 회사나 물류업체로는 불가능하며,

법인이 반드시 다음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인도네시아 상법에 따라 등록된 공식 법인
  • 제조사로부터 공식 위임장 및 상표 사용권 수령
  • SIINas 플랫폼 내 계정 개설
  • 인증 신청 지역에 위치한 창고 보유 (직접 소유 또는 임대 가능)
  • 인증 이후에도 대표법인은 수입 및 유통에 대한 책임을 지속적으로 져야 함

이는 단순한 인증 대리인을 넘어서,

실제 물류 흐름과 통관 관리에 참여하는 사업 주체로서의 역할을 요구합니다.

BSN은 대표법인의 실질 운영 여부, 창고의 실사용 상태까지 서류와 실사로 검토합니다.


3. 인증 유형 세분화 및 요건 강화​


기존에는 대부분 Type5(공장 심사 + ISO9001 기반 시스템 인증)가 주류였지만

2025년부터는 인증 유형이 아래와 같이 세분화됩니다.


Type-1b : 인스턴트 커피, 코코아 파우더 등 (배치 별 시험, 공장 심사 없음)

Type-1n : 세라믹 타일, 유리제품 등 (소규모 OEM, ISO 생략 가능)

Type-4 : 전통 산업(수공예 중심) (1회 공장심사 + 샘플 테스트)

Type-5 : 가전, 공산품 등 다수 (공장심사 + 시스템 인증 + 연간 감사)


중소기업이나 OEM 기반 수출기업의 경우, 무리하게 Type5를 고집하기보다

Type1b/1n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시간과 비용 면에서 유리할 수 있습니다.

생산 구조에 따라 가장 효율적인 인증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4. SNI COC 및 SPPT 분리 체계


이제 인증은 단일 문서로 끝나지 않습니다.

2단계로 나뉘며, 순차적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 SNI Certificate of Conformity(COC)

제품의 시험 및 기준 적합성을 공식 확인

✅ SPPTSNI​

해당 제품이 인도네시아에서 SNI 마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

SPPT는 제품에 부착되는 전자 QR코드 기반 마크 발급으로

매년 갱신이 필요하며, 유통/수입 단계에서 반드시 첨부되어야 합니다.

COC가 없이는 SPPT 신청 자체가 불가하고

SPPT 없이 제품이 유통될 경우 불법으로 간주되어 벌금 또는 리콜 조치를 받습니다.


5. 기업의 대응 전략


✅ 품목별 인증 대상 여부 사전 확인

→ KOTRA, BSN, 산업부 웹사이트 통해 정기 확인 필수

✅ 대표법인 및 창고 선제적 확보

→ 위임장, 상표 등록증, 창고계약서 등 필수문서 미리 준비

✅ OEM 또는 자가공장 여부에 따라 인증 유형 선택

→ 공장심사 부담이 큰 기업은 Type1 계열 인증 전략 고려

✅ 자금 및 일정 확보

→ 인증 수수료, 시험비, 공장심사비, 출장비 등 예상 예산 확보

✅ 전자마크 관리체계 구축

→ SNI SPPT 재갱신, QR코드 유지·모니터링 시스템 필요


인도네시아 진출,

유트랜스퍼Biz와 함께라면 더 쉬워집니다!



SNI 인증 절차는 단순히 문서를 제출하는 것을 넘어,

현지 제도와 실무 경험이 필수입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인증비, 시험비, 출장비 등

해외 송금의 번거로움은 유트랜스퍼Biz가 해결해드립니다.

유트랜스퍼Biz

✔️ 업계 최저 수준의 고정수수료 및 실시간 환율 적용

✔️ 인도네시아 루피아(IDR) 포함 60여 개 통화 지원

✔️ 비용 증빙에 필요한 송금 내역 자동 관리 기능 제공

📌 유트랜스퍼Biz 가입시, 첫 송금 수수료 무료 이벤트 중

​​

SNI 인증 준비 중이신가요?

복잡하고 귀찮은 해외송금, 유트랜스퍼Biz에 맡기고

현지 인증 절차에만 집중하세요!

  • (주)유핀테크허브
  • 대표이사: 정동화
  • 사업자등록번호 : 147-87-01366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207 14층
  • 이메일 : support@utransfer.com
  • 고객센터 : 1522-6013
  • 고객문의는 온라인센터 및 메일로 가능합니다.

Copyright © 2018 U Fintech Hub Inc. All rights reserved.

  • instagram
  • blog
  • youtube
top
가입하기